오목거울(concave mirror)

반사경(反射鏡) 중 반사면이 오목한 구면(球面) 또는 2차곡면으로 되어 있는 것. 구면의 오목거울에 대해서는 얇은 오목렌즈와 같은 결상공식(結像公式)이 성립한다.
여기서 a는 거울 중심에서 물체까지의 거리, b는 거울과 상(像) 사이의 거리, f는 초점거리이다.
f는 구면의 곡률반지름의 1/2과 같다.
오목거울에서 물체 PQ의 상 P’Q’가 어디에 생기는가를 작도할 때는 다음과 같은 작도 광선을 이용한다.
① 광축(光軸)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빛은 구면거울(球面巨鏡)에서 반사 후 초점 F를 통과한다.
② 구면의 중심 O를 지나는 빛은 반사 후 본래의 길을 지난다.
①과 ②의 광선의 교점이 P’, P’에서 광축에 직각으로 그은 선과 광축의 교점이 Q가 된다.
오목거울 중 회전타원면거울은 영사기의 광원(光源) 등에 사용되고, 회전포물면거울은 타조등(拖照燈)이나 망원경의 주거울(主鏡)로서 사용된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오베론(Oberon) 2010.08.20
- 이전
- 원기둥좌표(cylindrical coordinates) 2010.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