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산(hydrochloric acid)

염화수소(HCI)의 수용액. 염화수소산 · 함수산(鹹水酸)이라고도 한다.
동물의 위(胃)에서 분비되는 위산(胃酸)의 중요 성분이다.
염화수소를 물에 흡수시켜 제조한다.
공업적으로는 식염수의 전기분해 때 생성되는 염소와 수소를 직접 반응시켜 생긴 염화수소를 물에 흡수시켜서 만드는 것이 보통인데, 이것을 합성염산이라 한다.
또, 현재는 유기화합물의 염소화 때 염화수소가 부산물로 생성되므로 이것을 흡수시켜서 만든다.
이것을 부생염산(副生鹽酸)이라 하며 불순물 때문에 착색되는 수가 많다.
보통 농도 35% 이상을 진한 염산이라 부른다.
무색, 자극취가 있는 용액이며 진한 염산은 습한 공기 중에서 발연한다.
시판되는 진한 염산은 염화수소를 약 37% 함유한다.
끓는점은 농도에 따라서 다르며, 1atm에서는 20.2%일 때 최고 끓는점 108.58℃를 나타낸다.
20.2%의 염산은 혼합물이면서 순물질처럼 일정한 끓는점을 가진 공비등혼합물(共沸騰混合物)인데 108.58℃가 공비등점이다.
염산의 비중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커지며, 농도 c(%)와 비중 d 사이에는 대략 c=200(d-1)의 관계가 있다.
1mol 용액은 79.0%(18℃), 0.1mol 용액은 92.6%(18℃) 이온화하는 강한 산이다.
공업용 염산은 제조에 사용되는 황산 속에 함유된 산화셀렌이 염산과 화합하여 염화셀렌(Se2Cl2)을 형성하나 미량의 철염이 녹아있기 때문에 황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수가 있다.
화학적으로는 비금속원소와는 그다지 반응하지 않지만 금 · 은 · 백금족 이외의 금속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한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암질(lithology) 2010.08.20
- 이전
- 암종(carcinoma) 2010.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