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모니아(ammonia)

분자식 NH. 질소와 수소의 화합물. 고대 이집트의 태양신 암몬의 사원(寺院)부근에서 산출되는 염을 「암몬의 소금」이라 했는데 이 말이 와전(訛轉)되어 그 당시 소금과 소변으로 만들었던 염화암모늄을 가리키게 되고 후에 이것에서 얻는 것이라 하여 암모니아라는 이름이 생겼다.
암모니아를 인공적으로 처음 만든 것은 1774년 J. 프리스트리이다.
대기 속에는 소량 존재하며 천연수 속에도 미량이 존재하는 예가 많다.
또 흙 속에는 세균에 의한 함질소 유기물의 분해생성물로서 함유되어 있다.
〔성질〕무색의 가벼운 기체. 녹는점 -77.7℃, 끓는 점 -33.4℃. 자극적인 강한 냄새가 나며 물에 잘 녹아(부피로 1,000배 녹는다) 암모니아수가 된다.
압축하면 간단히 액체로 만들 수 있다(20℃ 에서 8.46기압).
분자 구조는 수소원자가 정삼각형(한 변 1.60A)을 이루고 그 중심에서 0.38A 높은 곳에 질소 원자가 있는 삼각뿔형이다.
이 수소원자의 평면에 대해 질소원자가 상하로 움직이는 공명을 하기 때문에 원자시계에 이용된다.
암모니아가스는 공기 속에서는 타지 않으나 산소 속에서는 노란 불꽃을 내면서 불타 질소와 물을 생성한다.
이 때 촉매를 써서 산화시키면 질산이 생기므로 이 반응은 질산 제조에 이용된다.
나트륨이나 마그네슘 등의 금속과는 반응하여 아미드나 질화물을 만들고 할로겐과도 반응하여 질소를 유리시킨다.
수용액은 알칼리성이며 산과는 염을 만들고 각종 금속염과는 반응하여 암모니아 착염(錯鹽)을 만든다.
암모니아가스를 액화한 것을 액체암모니아라 하는데 물과 흡사한 성질을 가진 무색 투명한 액체로서 주로 용매(溶媒)로 사용된다.
〔용도〕비료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다음은 공업용으로 사용된다.
비료로는 이것을 주성분으로 하여 황산암모니아를 만들었으나, 최근에는 요소로 사용하는 것이 많아졌다.
공업용으로는 질산의 제조, 암모니아소다법에서의 사용, 유기합성 원료, 액체암모니아로서의 냉동용 한제(寒劑)등으로 사용된다.
한편 암모니아는 점막을 상하게 하므로 특히 눈이나 코 등에 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암모니아배출동물(ammonotelic animal) 2010.08.20
- 이전
- 열차저항(train running resistance) 2010.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