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칼리(alkali)

수산화물(水酸化物) 형식의 화합물로 물에 용해되는 물질의 총칭. 고대 아라비아인은 식물의 재(주성분이 육지식물에서는 탄산칼륨, 바다식물에서는 탄산나트륨)를 알칼리라 불렀다.
「al」은 관사(冠詞)이며 「kali」는 재를 의미한다.
이것이 그 후에 일반화되어 재에서 추출한 물질 및 그것과 비슷한 성질, 즉 강한 염기성(鹽基性)을 나타내는 것은 모두 알칼리라 부르게 되었다.
지금은 주로 알칼리금속 · 알칼리토금속의 수산화물로 물에 녹는 것을 가리킬 때가 많다.
넓은 뜻에서 나트륨이나 칼륨의 탄산염 · 인산염, 암모니아, 아민 등을 포함해서 말할 때도 있다.
수산화나트륨(NaOH) · 수산화칼륨(KOH) · 탄산나트륨(Na2CO3 · 10H2O) 등이 예이다.
〔알칼리성과 알칼리성 반응〕 알칼리가 가진 성질을 알칼리성이라고 한다.
수용액은 잿물과 같은 맛을 가지며 비눗물처럼 유지류를 세척하고 적색 리트머스 종이를 청색으로 바꾸며 수소이온지수(pH)는 7이상이고 산을 중화(中和)한다.
이 말은 본래 수산화칼륨이나 수산화나트륨 등 강한 염기의 성질을 설명하는 말로 사용되어 왔으나 현재는 염기성과 같은 의미로 널리 쓰인다.
알칼리성을 가진 물질이 드러내는 반응을 알칼리성 반응이라고 할 때가 있다.
예를 들면 색소의 색을 바꾸거나 수용액 속에서 불용성 금속수산화물을 침전시키는 것이 그 예이다.
또 일반적으로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것을 분류명으로서 「알칼리-」라고 부르기도 하는데(예를 들면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광천(鑛泉)을 알칼리성 천이라고 한다) 반드시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알칼리성 식품이라고 할 때는 식품자체가 알칼리성을 가진 것이 아니라 성분 중 무기질의 조성이 알칼리성인 식품을 말한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알칼리골재반응(alkali-aggregate reaction) 2010.08.20
- 이전
- 알칼로이드(alkaloid) 2010.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