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미늄청동(aluminium bronze)

공업용 구리-알루미늄계 합금. 내식성(耐蝕性) · 내마모성(耐摩耗性)이 좋아 판(板) · 선(線) · 봉(棒) · 관(管) 등으로 만들어 열교환기(熱交換器)나 장식용으로 사용한다.
예로부터 구리-주석계 청동이 대표적인 구리합금이었기 때문에 주석을 함유하지 않는 구리합금까지 「청동」이라는 말을 붙였다.
알루미늄청동도 주석은 함유하지 않는다.
알루미늄의 함유량은 15% 이하이며 8~15%의 범위이다.
공석변화(共析變化) 때문에 담금질을 하면 강의 마텐자이트와 비슷한 조직을 얻을 수 있다.
공업용 알루미늄청동은 알루미늄의 함유량이 12% 이하인 합금이 신전재 · 주조재(鑄造材)로 사용된다.
큰 주조품은 냉각 중에 공석변화가 일어나므로 자기(自己)풀림이라는 현상이 일어난다.
공석 변화가 끝나면 상온에서는 가공하기 어렵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알루미늄합금(aluminium alloy) 2010.08.20
- 이전
- 알루미늄족원소(aluminium family element) 2010.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