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알돌축합(aldol condensation)

작성일 2010-08-20

알데히드(RCHO) 또는 케톤(R1COR2)이 2분자 반응하여 β-히드록시알데히드 또는 β-히드록시케톤 등 알돌을 생성하는 반응. 1872년 프랑스의 유기합성화학자 C. A. 위르츠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의 2분자 첨가반응으로 β-히드록시부탄올이 생성된다는 것이 발견되어 이 런 반응을 알돌축합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반응은 다음과 같은 일반식으로 표시된다.

 

 

산 또는 염기 어느 것으로나 촉매작용을 받으며 역사적으로도 유기합성 반응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산성 조건에서는 생성된 알돌이 쉽게 탈수되어 α, β-불포화 카르보닐화합물을 생성한다.

1838년에 발견된 예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아세톤은 황산 존재하에서 자기축합을 일으켜 산화메시틸((CH3)2C≡CHCOCH3)(식의 R1, R2, R4는 CH3, R3는 H에 해당한다)을 생성한다.

알돌축합에서는 케토-에놀 토토메리현상에 의해 생성되는 에놀이 친핵성 시약(親核性試藥)으로서 카르보닐탄소를 공격한다.

자기축합뿐만 아니라 다른 카르보닐화합물끼리도 알돌축합을 일으켜 여러 가지 알돌을 생성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런 경우에도 합성적으로 유용한 반응이 다수 알려져 있어서 공업적으로도 이용된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