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안티몬(antimony)

작성일 2010-08-20

원소기호 Sb, 원자번호 51, 원자량 121.75±3, 지각 중의 존재도 0.2ppm(62위), 안정핵종 존재비 121Sb=57.25%, 123Sb=42.75%, 녹는점 630.7℃, 끓는점 1,635℃, 비중 6.69(20℃), 전자배치 [Kr] 4d10 5s2 5p3, 중요 산화수 3, 5.

주기율표 5B족에 속하는 원소. 고대 이집트에서는 황화안티몬(輝安石)이 의약 또는 눈썹이나 속눈썹의 화장재료로 이용되었고 이것을 그리스어로 stibi, stimmi, 라틴어로 stibium이라 했다.

원소기호는 이에 유래한다.

한편 아라비아에서는 이 눈의 화장재료를 al-ithmid라고 했고 이것이 11~12세기에 유럽에 전해져 antimonium이 되었다.

안티몬은 중세의 연금술사에게 특별한 흥미의 대상이었고 성공하기 위한 최적의 출발물질이라고 믿었다.

염화안티몬은 안티몬버터라는 이름의 의약품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17세기에 J. 뢸드에 의해 출판된 B. 발렌티누스의 저작이라고 전해지는 《안티몬의 개선차(凱旋車)》에는 많은 안티몬화합물의 처방이 실려 있다.

유리금속(遊離金屬)도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으며 B.C. 4000년이라고 추정되는 칼데아인이 사용한 항아리의 파편, 바빌로니아 시대의 청동, 티그리스강 연안에서 발견된 기물(器物) 등에서 안티몬합금이 발견되었다.

16세기에 G. 아그리콜라는 황화안티몬을 환원하여 용융안티몬을 만드는 방법을 발견했고 일설에는 15세기 사람이라고도 하는 17세기 초부터 그의 저작이 간행된 B. 발렌티누스는 금속안티몬을 이용하여 거울 · 종(鐘) · 인쇄용 활자 등을 만들었다고 한다.

광물로는 휘안석(Sb2S3)이 가장 중요하고 볼리비아 · 멕시코 · 중국 · 페루 등에서 산출된다.

또 발렌티나이트 · 방안석(方安石 ; Sb2O3)으로도 산출되며 그 밖에 비소 · 납 · 구리 · 은의 광석에도 존재한다.

〔성질〕 상온에서 안정형(安定型 ; 회색안티몬)은 광택이 나는 은백색 결정이다.

육방정계이며 흑린(黑燐)과 동일한 결정구조를 하고 있다.

능면체격자(菱面體格子)로서 격자상수 a=4.4962Å, α=97°66‘이다.

건조한 공기 속에서는 거의 변하지 않으나 습한 공기 속에서는 서서히 광택이 없어진다.

매우 물러서 쉽게 분쇄(粉碎)된다.

열전도율은 0.042cal/cm · s · deg(0℃)로 은의 약 30%, 전기전도율은 2.48×104 mho(0~30℃)로 은의 약 4%로 작아 비(非)금속성을 나타내지만 광택 · 비중은 금속과 비슷하여 비(非)금속원소라고 생각된다.

액체상태에서 고화(固化)될 때는 부피가 증가한다.

안티몬 증기를 저온에서 응축시키면 황색 동소체(同素體)가 생긴다.

이것은 사면체형의 Sb4분자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생각되며 극저온에서만 안정하게 존재한다.

공기 속에서 가열하면 청색불꽃을 내며 연소하고, 산화안티몬(m)을 생성한다.

〔용도〕 홑원소물질로 이용되지는 않으나 안티몬을 소량 첨가한 납은 경납〔硬鉛〕이라고 하며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때문에 케이블선(線)의 피복, 축전지의 극판(極板), 납관〔鉛管〕· 베어링 메탈 등으로 이용된다.

최근에는 안티몬 도금이나 반도체재료로서도 중요하다.

산화안티몬(Ⅲ)은 법랑용 유약(釉藥)이나 유기고분자 재료에 난연성(難燃性)을 부여하는 첨가제로 이용된다.

황화안티몬(Ⅲ)(Sb2S3)은 폭죽이나 성냥으로, 염화안티몬(Ⅲ)(SbCl3)은 매염제와 안료로서 이용된다.

d-타르타르산안티몬칼륨(K2Sb2(C4H2O6)2 · 3H2O)은 수용성 안티몬화합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으며 광학활성화합물의 분할제(分割劑)로서 학술연구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안티몬은 홑원소물질 · 화합물 모두 독성이 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전
양배암(glaciated rock) 2010.08.20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