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안면신경마비(facial paralysis)

작성일 2010-08-19

안면신경이 여러 원인으로 침해되어 안면근의 운동이 장애를 받는 상태. 장애 부위에 따라 중추성과 말초성으로 나뉜다.

① 중추성 안면신경마비 : 뇌혈관장애 · 뇌종양 · 뇌염 등으로 인해 다리〔橋〕에 있는 안면신경핵에서 중추에 이르는 안면신경로가 침해를 받아 일어나며 같은 쪽에 편마비(片痲痺)를 수반하는 일이 많다.

전두근(前頭筋)은 마비되지 않고 안면 하반부만 마비되지만 미각이나 청각은 장애를 받지 않으며 근육의 변성반응도 나타나지 않는다.

혀는 마비 쪽으로 기운다.

② 말초성 안면신경마비 ③ 핵성마비(核性痲痺) : 다리〔橋〕의 혈액순환장애 · 종양 · 염 증 · 연수공동증(延髓空洞症) 등으로 인해 일어나는 핵성마비에서는 종종 외전신경(外轉神經)이나 피질척수로(皮質脊髓路)의 장애를 합병한다.

한쪽 안면신경마비와 반대쪽 편마비로 나타나는 것은 밀라-귀블레 증후군이라고 하며 다시 이 증후군에 주시마비(注視痲痺)가 더해진 것은 밀라-귀블레-포빌 증후군이라고 한다.

④ 핵하성(核下性)마비 : 안면신경핵보다 말초 쪽에서 안면신경이 장애를 받았을 때 일어나며 원인질환으로는 종양(소뇌교각 종양 등), 감염(기렝-바레 증후군 등), 외상(두개저 골절 등), 사르코이도시스, 탈수질환(脫髓疾患) 등이 있으며 스트레스나 한랭노출도 원인이 된다.

약물요법으로는 스테로이드가 중심이 되며 그 밖에 혈관확장제 · 비타민제 등이 사용된다.

또 처음으로 발생한 마비에는 성상신경절 차단술(星狀神經節遮斷術)이 유효하고 오래 된 마비에는 성형수술이 시행된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야코비안(Jacobian) 2010.08.19
이전
안면신경(facial nerve) 2010.08.19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