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면신경(facial nerve)

뇌에서 나오는 12쌍의 말초신경 중 제7뇌신경에 해당하는 신경. 안면신경은 안면의 신경을 지배하는 좁은 뜻의 안면신경 외에, 누선(淚腺) · 비선(鼻腺) · 구개선(口蓋腺) · 악하선(顎下腺) · 설하선(舌下腺)의 분비를 지배하는 중간신경도 포함된다.
안면운동에 관여하는 부분은 다리(橋)의 피개(被蓋)와 연수(延髓)의 망상체(網狀體)에 있는 안면신경운동핵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먼저 배내측(背內側)으로 뻗어 내측 종속(縱束)에 모여 이른바 내슬(內膝)을 이루고 외전신경(外轉神經)의 위쪽을 밖으로 돌아 다리와 연수 사이의 홈에서 바깥쪽으로부터 뇌 밖으로 나와 내이도(內耳道)로 들어간다.
한편, 누선 · 비선 · 구개선에 분포하는 부교감성 신경은 상타액핵(上唾液核)에서 시작하여 내이도로 들어간다.
혀의 앞부분인 2/3의 미각을 지배하는 지각성 신경은 다리에 있는 고속핵(孤束核)에 연결되어 있다.
안면신경의 주요 종류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① 대추체신경(大錐體神經) : 안면신경관 중의 안면신경 외슬 부분으로 안면신경의 원줄기와 갈라져 교감신경성 심추체신경(深錐體神經)과 합쳐 익돌관신경(翼突管神經)이 되어 익구개신경절(翼口蓋神經節)로 들어간다.
여기서부터 절후부교감신경섬유(節後副交感神經纖維)가 누선 · 비선 · 구개선으로 분포한다.
② 등골근신경(-骨筋神經) : 안면신경관 중에서 갈라지는 가는 가지로서 등골근을 지배한다.
③ 고색신경(鼓索神經) : 중간신경에서 나온 것으로, 안면신경관의 하단이나 그보다 조금 앞에서 갈라져 위로 올라가 고실에 들어간다.
망치뼈와 모루뼈 사이를 지나 추체고실렬(錐體鼓室裂)을 가로지르며 마지막에는 설신경(舌神經)에 혼입한다.
부교감성 섬유는 악하선과 설하선을 지배하고 지각성 섬유는 혀의 앞부분인 2/3의 미각을 지배한다.
④ 근지(筋枝) : 이하선 신경총에서는 측두지(側頭枝) · 협골지(頰骨枝) · 협근지(頰筋枝) · 하악연지(下顎緣枝) 및 경지(頸枝)로 갈라져 각기 표정근을 지배한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안면신경마비(facial paralysis) 2010.08.19
- 이전
- 야코비(Karl Gustav Jakob Jacobi) 2010.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