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액화(liquefaction)

작성일 2010-08-19

기체가 응축(凝縮)하여 액체가 되는 변화, 또는 고체가 녹아 액체가 되는 변화.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앞의 것을 가리킨다.

또 실온(室溫) 정도에서 응축하여 액체가 되는 경우(예를 들면 수증기의 응축)보다는 가압(加壓)에 의해 기체가 액체가 되는 경우를 가리킬 때가 많다.

일반적으로 어떤 기체든 그 기체에 특유한 임계온도(臨界溫度) 이하로 냉각시키고 가압하면 액화한다.

그러나 산소와 질소는 임계온도가 각기 -118℃, -147℃이기 때문에 상온에서 아무리 압축해도 액화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기체를 영구기체(永久氣體)라고 한다.

임계온도 이하로 냉각시키려면 줄-톰슨 효과 등을 이용한다.

액화된 기체는 부피가 작으므로 수송이나 보전, 또는 저온용 냉각제(冷却劑)에 편리하다.

보전용으로는 프로판·부탄 등이 있고, 저온용 냉각제로는 액체공기(끓는점 약 -190℃)·액체수소(끓는점 약 -252℃)·액체헬륨(끓는점 -268℃) 등이 있다.

액체헬륨은 초전도자석(超傳導磁石)·조셉슨 소자(素子)의 동작에 없어서는 안 되는 냉매이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악토미오신(actomyosin) 2010.08.19
이전
악셀로드(Julius Axelrod) 2010.08.19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