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서(order)

수의 대소관계() 또는 집합의 포함관계(
) 등에서 추상된 개념. 생각하는 범위가 항상 다음 세 가지 법칙이 성립하는 관계
를 순서 · 순서관계 또는 반순서(半順序)라고 한다.
원소사이에 순서가 정의 된 집합을 순서집합 또는 반순서집합이라 한다.
순서집합 A의 임의의 원소 x, y에 대해 xy 또는 y
x가 될 때
를 전순서(全順序) 또는 선형순서(線形順序)라 하며, A를 전순서집합 또는 선형순서집합이라고 한다.
순서집합 A의 부분집합은 A의 순서에 관해 역시 순서집합으로 볼 수 있다.
xy를 y
x라고도 표시하며, 이항관계
를
의 쌍대(雙對)라고도 하지만 이것도 순서가 된다.
일반적으로 순서에 관한 개념·조건·명제 등에서 순서를 그 쌍대로 바꾸어 놓았을 때의 개념 등을 처음 것의 쌍대라고 한다.
이를테면 xy. x
y 를 x<y, 또 x
y, x
y를 x>y라고 표시하지만 >는 <의 쌍대이다.
순서에 대한 어떤 일반적인 명제가 참이면 그 쌍대도 참이다.
이것을 순서에 관한 쌍대원리라고 한다.
또한 위의 정의에 의해 xy는「x<y또는x=y」와 동등하게 된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아황산가스중독 2010.08.19
- 이전
- 아황산(sulfurous acid) 2010.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