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액정(liquid crystal)

작성일 2010-08-19

액체와 결정의 중간상태에 있는 물질. 준결정 또는 이방성 액체라고도 한다.

1888년 오스트리아의 F. 라이니처는 콜레스테롤 화합물이 특정 온도 영역에서 용융하여 점성이 있는 탁한 액체가 되는 것을 발견했다.

독일의 물리학자 O. 레만은 이 탁한 액체가 액체의 특징인 유동성과 결정체에 보이는 복굴절을 겸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여 이 상태를「액정」이라 이름붙였다.

이 성질을 이용하여 전극 사이에 액정분자를 수직으로 늘어놓고 빛을 쬐면 그대로 투과하지만 전극 사이에 전압을 작용시키면 액정의 분자배열에 혼란이 생겨 빛은 분자에 부딪쳐서 반사굴절하여 투과도가 떨어지고 그 부분만 어두워져서 상이 그려진다.

전자 탁상시계뿐만 아니라 각종 사무자동화(OA)기기에도 응용되고 있다.

앞으로는 자동차용 표시소자와 텔레비전용의 화면에도 그 용도가 확대될 전망이다.

최근의 기술 동향으로는 유리기판을 대신하는 중합체 기판의 실용화가 기대된다.

경량화·박형화에 의해 IC카드의 표시판, OA기기의 터치패널 등에 이용이 가능하다.

액정을 나타내는 물질에는 p-아족시아니솔·p-아족시벤조산에틸·올레산암모늄 등 250종 이상이 발견되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아쿠아이온(aqua ion) 2010.08.19
이전
아콰리움(aquarium) 2010.08.19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