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러냇(aplanat)

회전대칭(回轉對稱)의 광학계(光學系)에서 구면수차(球面收差)와 코마수차가 제거되어 광축(光軸) 부근에서 실상과 거의 똑같이 선명하고 정밀한 상(像)을 맺는 것. 이 종류의 렌즈에서는 색수차도 제거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현실의 실용렌즈는 모두 애플러냇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단 포물면거울(抛物面鏡)에서는 광축에서 무한원(無限遠)물체에 대해 구면수차는 완전하게 0이지만 코마수차가 잔존한다.
그렇기 때문에 예를 들면, 헤일 천문대의 회전포물면을 이용한 구경 200in(508cm), 구경비 1 : 3.3의 반사망원경에서도 주경(主鏡)초점면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면은 불과 지름 20mm에 지나지 않는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아종(subspecies) 2010.08.19
- 이전
- 애플라이트(aplite) 2010.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