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애추(talus)

작성일 2010-08-19

산지의 급사면 또는 낭떠러지의 아래 부분에 형성된 반원추형(半圓錐形)의 지형. 풍화된 암설(岩屑)이 중력작용에 의해 떨어져 내려 퇴적된 지형이며 구성 암설은 각모를 이룬 것이 많고 아래쪽에는 굵은 암석, 위쪽에는 모래가 퇴적되어 있다.

애추의 사면은 보통 35˚ 내외의 경사를 유지하며 직선상의 종단면(縱斷面)이다.

유형은 세가지로 구분되며 단애면(斷崖面)이 균등하게 풍화작용을 받으면서 후퇴되어 형성된 애추사면(崖錐斜面), 한 부위에만 암설이 공급되는 원추형의 단일애추(單一崖錐), 원추형의 애추들이 횡적으로 연결된 복합(複合)애추사면이 있다.

건조지역의 협곡벽(峽谷壁)이나 동결·융해를 끊임없이 반복하는 빙식곡(氷蝕谷)의 측벽, 단층애·하안·해안 등 풍화작용이 활발한 지역에 형성되기 쉬우며 우리 나라의 산악지방에서 많이 발견된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애쿼머린(aquamarine) 2010.08.19
이전
아조단백질(azo-protein) 2010.08.19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