얇은 철판에 용융된 아연을 도금한 것. 함석판이라고도 한다.
내식성(耐蝕生) · 내구성(耐久性)이 우수하여 지붕 · 연통 · 간판 · 전기기계 등에 사용된다.
아연은 철보다 이온화경향이 크기 때문에 아연도금철판 표면의 아연이 조금 벗겨져 철이 노출되어도 전기화학적으로 내부를 보호한다.
아연도금 철판의 표면에 보이는 큰 꽃 모양의 무늬는 아연의 결정이다.
최근에는 아연도금철판의 표면에 도료를 도장한 것도 많다.
형상에는 평판(平板) · 파형판(波形板) 등이 있으며 그 크기나 두께는 한국공업규격으로 정해져 있다(KS D 3506).
특히 건재용 아연도금 철판의 두께를 번(#)으로 표시하기도 하며 번수가 적을수록 두껍다.
예를 들어 30번의 두께는 0.32mm, 24번의 두께는 0.64mm이다.
일반적으로 16~32번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