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틸조효소에이(acetyl-coenzyme A )

조효소 A(CoA)의 유도체. 아세틸기(基)는 조효소 A분자의 판토텐의 티오에스테르로서 결합하고 있다.
아데닌에 의한 260nm의 흡수 극대 외에 티오에스테르에 의한 극대 230~240nm의 흡수대를 가진다.
고(高)에너지 화합물이며 가수분해의 (pH7) 는 -35.1kJ · mol
이다.
히드록실아민에 의해 아세트히드록삼산(酸)이 된다.
조효소A는 아세트산과 ATP에 의해 설파닐산을 아세틸화하는 효소반응의 조효소로서 F. 리프먼 등에 의해 발견되었다.
활성 아세트산으로서 작용한다고 했는데, 1951년에 F. 라이넨은 효모에서 아세틸조효소A를 분리, 아세틸기의 공여체로서의 구실을 분명히 했다.
아세틸조효소A의 생합성은 주로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① ATP의 AMP와 피로인산으로의 분해와 동시에 아세트산과 조효소A에서 아세틸조효소A 합성효소(아세트산티오키나아제)에 의해, ② 아세틸인산에서 조효소A로 아세틸기전이(인산아세틸전이효소, EC 2. 3. 1. 8)에 의해, ③ 피루브산에서 탈수소반응 또는 포름산리아제반응(포름산아세틸전이효소)에 의해 생성된다.
아세틸조효소A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반응에 관여한다.
① 아세틸기는 여러 가지 아세틸전이효소의 작용으로 아세틸화에 사용되며 아세틸콜린 · 아 세틸글루코사민 등의 생성에 관여한다.
한편 티오에스테르로서 황원자의 전기음성도(電氣陰性度)가 강하기 때문에 아세틸기의 메틸기의 양성자 해리(解離)에 의해 메틸탄소가 다른 분자와 친전자적(親電子的) 치환을 일으켜 많은 C-C결합 생성반응을 한다.
② 이산화탄소(CO)와의 결합에 의한 말로닐조효소A 생성반응은 지방산의 생합성과정의 개시 반응이며, ③ 옥살아세트산과의 축합에 의한 시트르산의 생성은 시트르산 회로의 제1의 반응으로 알려져 있다.
④ 2분자의 아세틸조효소A의 결합에 의한 아세토아세틸조효소A의 생성, 나아가 또 하나의 분자와 결합하는 3-히드록시-3-메틸글루타릴조효소A의생성은 테르펜 생합성의 최초의 단계이다.
이와 같이 많은 생화학적 중요 반응이 일여져 있다.
⑤ 또 환원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가 생기고 세균에 의한 알코올 발효의 중간체이기도 하다.
한편 각종 효소 활성의 조절물질로서의 작용도 발견되었다.
특히 피루브산카르복실라아제의 활성발현에 필요하며 옥살아세트산의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시트르산 회로 및 당신생(糖新生)을 활성화시킨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 2010.08.19
- 이전
- 아세틸아세톤착물(acetylacetone complex ) 2010.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