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보가드로수(Avogadro’s number)

원자 · 분자 · 이온 · 전자 · 레디칼 등의 물질입자 1mol 속에 함유되어 있는 입자의 수. 기초물리상수의 하나로서 보통 L 또는 N라 표기하며 N
=6.022045×10
mol
이다.
이 값은 오스트리아의 J. 로슈미트가 처음으로 결정하여 독일에서는 로슈미트수라 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0℃, 1atm의 기체 1ml 속에 존재하는 분자수를 로슈미트수라 불러 구별한다.
기체의 점성(粘性), 확산상수(擴散常數), 에멀션의 분포, 브라운 운동 등에 의한 방법이 이전에는 사용되었으나 이들은 모두 정밀도가 별로 좋지 않다.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으며 ③의 방법이 가장 정밀도가 높다.
① 라륨의 입자(헬륨 이온)의 방출속도 n과, 일정시간 t초에 얻는 헬륨의 생성량 m(g) 사이에서 구한다.
식은 m=Mnt/N(M은 헬륨의 원자량)가 된다.
② 대전(帶電)된 기름 · 방울의 미량입자(微量粒子)를 낙하시켜 그 속도에서 전기소량(電氣素量) e를 구하고(밀리컨의 기름방울 실험), 이것과 패러데이 상수 F의 관계에서 구한다.
식은 F=가 된다.
③ X선 회절(回折)에 의해 단결정(單結晶)의 단위격자(單位格子)의 격자상수를 결정하고 그 격자 내에 포함되는 원자 또는 분자수에서 구한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아보가드로의 법칙(Avogadro’s law) 2010.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