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은(mercury)

원소기호 Hg, 원자번호 80, 원자량 200.593, 지각 중의 존재도 0.08ppm(66위), 안정핵종 존재비
=0.146%,
=10.02%,
=16.84%,
=23.13%,
=13.22%,
=29.80%,
=6.85%, 녹는점 -38.86℃, 끓는점 356.66℃, 액체의 비중 13.558(15℃), 고체의 비중 14.193(-38.87℃), 물에 대한 용해도 2.5×
g/l(25℃), 전자배치 [Xe]
, 주요 산화수 1, 2.
주기율표 2B족에 속하는 아연족 원소의 하나. 상온에서 액체인 유일한 금속이다.
중국에서「홍(汞)」자를 써서 수은을 표시한 것도 액체에 유래한다.
고대부터 알려진 금속이며 B.C. 1600년경의 묘지에서도 발견되었다.
고대의 금아말감을 이용한 금도금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수은화합물을 그리스인은 의료용 연고로, 또 로마인은 안료·화장품에 이용했다.
연금술사들은 수은이 금속에 공통인 절대적 존재를 가진다고 생각하여 자주 수은을 원소변환의 수단으로 이용했다.
천연으로는 진사(辰砂 ; HgS)로서 에스파냐·이탈리아·유고슬라비아·미국·소련·멕시코·캐나다 등 각지에서 산출된다.
진사의 명칭은 중국 후난성(湖南省) 천주(辰洲)에서 산출된 것에 유래한다.
수은의 제련은 주로 진사를 원료로 하지만 다른 불순물을 수반하여 수은의 함유량은 0.2%로 낮다.
광석을 부유선광(浮遊選鑛) 분별처리하고 공기 속에서 600~700℃로 가열하면 수은증기가 증류되므로 이것을 응축기에 의해 회수한다.
기체상은 상온에서도 거의 일원자(一原子)로 존재한다.
고체상은 겉으로는 금속주석과 같은 광택을 가진다.
결정구조는 육방조밀충전(六方稠密充塡)이지만 층간거리가 짧아 다소 변형이 있다.
각 수은원자는 양쪽에 인접한 2층의 6개 최근접원자(결합길이 3.00Å)로 둘러싸여 있고 또 같은 층 안의 인접원자는 그보다 다소 먼거리(3.47Å)에 있다.
79K 이하에서는 결정은 정방정계(正方晶系)로 변화한다.
상온에서는 산소와 반응하지 않으나 350℃ 에서 산화물을 생성하고 다시 450℃ 에서는 재차 분해하여 금속수은이 된다.
할로겐이나 황과는 직접반응하여 할로겐화물 · 황화물을 생성한다.
〔용도〕 수은은 많은 독성에도 불구하고 상온에서 액체가 되는 등 많은 독특한 성질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온도계·기압계·확산펌프·릴레이(계전기)·전지·형광등·수은등 등에는 모두 홑원소물질 수은이 이용된다.
또 아말감을 만드는 성질을 이용하여 금·은의 회수, 금도금·가성소다제조용 음극으로 이용된다. 화합물은 살균제·살충제로서, 또 유기수은은 이뇨제·매독의 치료약으로도 옛날부터 사용되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수은전지(mercury cell) 2010.08.19
- 이전
- 수위계(water gauge) 2010.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