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화물(hydroxide)

구조식이 M(OH)(n=1, 2, 3, 4 등)인 원소와 수산기만으로 구성되는 화합물. 좁은 뜻으로는 음이온인 수산화이온(OH
)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가리키며 넓은 뜻으로는 금속이온의 수화산화물, 수화수산화물, 산뿐 아니라 알칼리와도 반응하는 양쪽성 수산화물(예를 들면 알루미늄·주석·비소의 수산화물 Al(OH)
, Sn(OH)
, As(OH)
등)도 포함된다.
조성은 수산기를 함유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산인 비금속산화물(예를 들면 붕산 B(OH)=B
O
·3H
O)이나 어떤 금속산화물(예를 들면 크롬산 CrO
(OH)
=H
CrO
=CrO
·H
O) 등은 수산화물이라고 하지 않는다.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 및 그들의 산화물을 물과 직접 반응시키면 수산화물이 나온다.
할로겐화물, 기타 염류수용액을 전기분해시킬 때 양극쪽에 수산화물이 생성된다.
또 적당한 염의 수용액에 알칼리를 가하면 수산화물이 침전한다.
또는 반대로 복분해반응에 의해 난용성(難溶性)염을 침전시켜 수용액 속에 수산화물을 생성시키는 경우도 있다.
알칼리금속의 수산화물은 일반적으로 조해성(潮解性)이며, 물에 잘 녹는 편이다(수산화리튬은 약간 물에 녹기 어렵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수산화알루미늄(aluminium hydroxide ) 2010.08.19
- 이전
- 스트레스(stress) 2010.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