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쇄설구(pyroclastic cone)

작성일 2010-08-18

폭발적인 분화활동에 의해 강하화쇄물(降下火碎物)이 화구(火口) 주위에 쌓여 형성된 원추형 또는 그에 가까운 화산체. 쇄설구는 10~30°의 직선상 사면을 소형 화산으로 비고(比高) 300m 이하, 기저(基底) 지름 2km 이하인 것이 많으며, 기반과는 지형적으로 명료한 경계를 이룬다.

쇄설구의 사면은 테일러스의 발달에 의한 안식각(安息角)으로 결정되고 있다.

쇄설구는 화산체의 크기에 비해 화구가 큰 경우(호마테라고도함)가 많은데, 이것은 쇄설구가 비교적 소규모인데다가 수증기-마그마성의 폭발적 분화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구성물질의 특징에 의해 쇄설구는 다음과 같이 세분된다.

① 주로 경석(輕石)으로 이루어진 것은 경석구(pumice cone), ② 스코리아로 이루어진 것은 스코리아구(岩滓丘 ; scoria cone) 또는 분석구(噴石丘, cinder cone), ③ 화산재로 이루어진 것은 화산회구(ash cone), ④ 화산재 중에서 특히 화산재가 강하게 굳어져 이루어진 것은 응회암구(凝灰岩丘) ⑤ 스트롬볼리식(式) 분화로 미고결(未固結)의 용암편(熔岩片)이 쌓여 이루어진 것은 스패터구(spatter cone)라고 불린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쇄설암(clastic rock) 2010.08.18
이전
쇄빙선(ice breaker) 2010.08.18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