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소수(decimal)

작성일 2010-08-18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실수(實數). 실수를 표시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1.75, 1/7=0.142857142857…과 같이 유한 또는 무한으로 계속되는 숫자열(數字列)의 어떤 곳에 점을 찍은 것을 소수라 하며 그 점을 소수점이라 한다.

소수점 다음 자리를 차례로 소수 첫째자리(1/10의 자리), 소수 둘째자리(1/100의 자리), …라고 한다.

1.75와 같이 양의 정수 1과 소수 0.75의 합으로 된 것을 대소수(帶小數)라 하고 소수점 앞에 0 이외의 정수가 없는 소수를 순소수(純小數)라고 한다.

또 1.75는 1+(7/10)+(5/10)라고 표시하며 이와 같이 유한으로 끝나는 것을 유한소수라 하고 1/7=0.142857142857…과 같이 무한히 계속되는 것을 무한소수라고 한다.

무한소수 중 위의 1/7의 예에서 142857 같이 같은 숫자의 배열이 반복되는 것을 순환소수라 하고 반복되는 부분을 순환마디라고 한다.

정수도 2=2.0과 같이 소수로 표시할 수 있고, 또 유리수는 유한소수나 순환 소수로, 무리수는 순환되지 않는 무한소수로 표시된다.

또 소수 325.67832는 3.2567832×10으로 표시 할 수도 있다.

앞의 것을 고정 소수점표시라 하고 뒤의 것을 부동 소수점표시라고 한다.

지금까지 말한 것은 십진법의 소수지만 다른 진법에 있어서도 소수의 표시가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이진법으로 1.01은 1+1/2=5/4를 나타낸다.

소수는 네덜란드의 수학자 S. 스테빈이 발견한 것이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