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타르(coal tar )

석탄을 고온 건류할때 생기는 기름모양의 물질. 비중 1.1~1.2. 특히 저온타르와 구별할 때는 고온타르라고 한다.
수득률은 석탄 무게에 대해 3~6%이다.
주로 방향족 탄화수소의 혼합물이며 페놀 · 크레솔 등 페놀류, 소량의 피리딘 등 염기성유, 극미량인 이황화탄소 · 티오펜 등 황화합물을 포함한다.
석유화학공업 이 발달하기 이전은 방향족화합물의 가장 중요한 자원이었다.
보통 분별증류 등의 약품 처리방법 등에 따라 분별 정제된다.
특히 낮은 끓는점의 유분은 물감 · 의약 · 합성섬유 · 합성수지 · 폭약 등의 원료로서, 또는 용매로서 중요하다.
높은 끓는점 유분은 충분히 이용되고 있지 않다.
석탄타르의 유분은 대략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① 경유 : 약 170℃까지의 유분(벤젠 · 톨루엔 · 크실렌 등을 함유). ② 중간유 : 약 170~230℃의 유분(나프탈렌 · 페놀 · 크레솔 등을 함유). ③ 크레오소트유(중유라고도 한다) : 약 230~270℃의 유분(나프탈렌 · 페놀 · 크레솔 · 나프톨 등을 포함한다). ④ 안트라센유 : 약 270~400℃의 유분(안트라센 · 페난트렌 등을 함유). ⑤ 피치 : 증류 잔류분.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석탄화학(coal chemistry ) 2010.08.18
- 이전
- 석탄액화(liquefaction of coal ) 2010.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