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섀도마스크(shadow mask )

작성일 2010-08-18

컬러텔레비전에서 컬러 브라운관의 3색 형광체 바로 앞에 형광면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둥근 구멍 또는 각형(角形) 구멍이 뚫린 금속판 전극. 두께는 0.15mm 안팎이다.

초기에 생산된 제품은 원형의 구멍이 뚫린 것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슬롯(slot) 모양 또는 슬릿(slit) 모양으로 뚫린 섀도마스크가 사용되고 있다.

섀도마스크를 사용한 브라운관은 섀도마스크관이라고 하며 이것은 형광면상에 나열된 빨강 · 파랑 · 녹색의 세 가지 형광 도트(점)를 하나의 초로 하고 섀도마스크의 구멍 하나가 이 도트에 대응토록 제조되었다.

형광 도트와 섀도마스크의 구멍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즉 빨강 · 파랑 · 녹색의 전자총의 각 위치에서 섀도마스크 너머로 형광면을 볼 때 빨강 전자총의 위치에서는 빨강 형광체만 보이고, 파랑 전자총의 위치에서는 파랑 형광체가 보이도록 배열한다.

빨강 · 파랑 · 녹색의 3원색으로 된 영상신호로 전자총에서 나오는 세 개의 전자빔의 세기를 변화시켜 세 개의 전자빔을 모아 섀도마스크 상에 주사시키면 섀도마스크의 구멍을 동시에 통과한 세 개의 전자빔은 그 세기에 비례하고 각기 대응하는 형광체를 정확히 발광시킨다.

따라서 수상관(受像管)의 앞면에서 볼 때 3색 혼합의 원리와 인간의 시각감도의 성질에 따라 컬러 화면으로 보인다.

섀도마스크의 구멍은 클수록 전자빔을 많이 통과시키고 형광체에 부딪치는 전자가 증가하여 화면은 밝게 보인다.

그러나 전자가 다른 색의 형광체에 부딪치는 예도 많으므로 선명도는 떨어진다.

섀도마스크에서 전자빔의 투과율은 15~20%이다.

섀도마스크로 차단된 전자빔은 마스크의 온도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래서 안정된 화상을 얻을 수 없는 원인이 된다.

이를 막기 위해 각종 방안이 연구되고 있는데, 1968년 일본의 소니사(社)가 개발한 컬러 수상관의 트리니트론(trinitron)도 그 중의 하나이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섀터콘(shatter cone ) 2010.08.18
이전
섀넌(Claude Elwood Shannon ) 2010.08.18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