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빈해안(sandy coast)

바다의 물결이나 조류에 의해 생긴 모래해안. 넓은 뜻으로는 암석 해안과 구별하고 진흙이나 자갈도 포함해서 미고결(未固結) 퇴적물로 구성된 해안이며 사력(砂礫)해안·사질(砂質)해안이라고도 한다.
사빈해안은 주로 유입하천(流入河川)이 모래를 운반하거나 해식애(海蝕崖)와 인접해안의 침식으로 생긴 사력 등이 연안의 물결이나 바닷물의 흐름에 따라 운반·퇴적되어 형성된 해안으로 평면형은 바다를 향해 완만한 호상(孤狀)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또 산지가 침수되었을 때 처럼 만입굴곡(灣入屈曲)이 많은 해안에서는 갑(岬)이 암석해안을 이루는 데 비해 사빈해안은 만입부(灣入部)에 생기며 포켓비치(pocket beach)나 초승달 모양의 사빈을 만든다.
이것은 배후의 지형이나 유입하천, 해저의 수심 및 파도의 굴절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또 사빈해안은 사취(砂嘴)·육계사주(陸緊砂州) 등의 지형이 발달하며, 빈제(濱堤)나 해안사구가 생기는 일이 많다.
산호초해안에서는 산호의 파편이나 유공충의 껍질 등의 퇴적물로 이루어진 사빈을 볼 수 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색소포신경(chromatophore nerve ) 2010.08.18
- 이전
- 사분포자(tetraspore) 2010.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