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가(value)

화면에서 각 부분 색채의 색상 · 명도(明度) · 채도(彩度)의 상관관계.
어떤 색을 다른 색과 비교할 때 그 색의 시각적 강도로 색가가 높은지 낮은지를 알 수 있다. 고전적인 회화에서는 명암의 정도에 의존하여 회화제작이 이루어졌는데 색의 명도를 색가라고 여겼다. 그러므로 같은 색이라도 밝은 색이 어두운 색보다 앞쪽으로 드러나와 보이는 점 때문에 색가의 대비가 원근표현의 기본적 기법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특히 인상파 이후의 근대회화에서는 색채가 구사되어 고전적인 명암법이나 원근법에 구애됨 없이 색상 · 명도 · 채도의 상호 대비관계에 의해 입체감. 공간의 확대, 무브망 (mouvement) 등을 표현하게 되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색도좌표 (chromaticity coordinates, 色度座標) 2017.04.18
- 이전
- 상태전이도(state transition diagram) 2017.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