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사바나(savanna)

작성일 2010-08-18

우기(雨期)와 건기가 뚜렷한 열대·아열대 지방에서 발달한 식생대(植生帶). 원래 초지를 뜻하는 사바나는 키가 큰 벼와 초본으로 이루어진 초원에 수목이 산생(散生)하는 경관을 가졌다.

아프리카 및 남아메리카의 오리노코강 유역과 브라질 고원에 널리 분포하며, 그 밖에 인도·인도 차이나 반도·오스트레일리아 등에도 분포되어 있다.

지형적으로도 특색이 있어 보른하르트라고 부르는 돔형(型)의 노암(露岩)과, 라테라이트성(性)의 철피각(鐵皮慤)이 형성하는 대지상(臺地狀) 지형 및 거대한 개밋둑이 특징이다.

기후는 사바나 기후고 강우는 적도기단(赤道氣團)에 뒤덮였을 때, 또는 열대수렴대(熱帶收斂帶)를 통과할 때에만 한정되기 때문에 우기는 거의 여름철에 한정되고 다른 시기는 4~10개월에 걸친 긴 건기가 된다.

이 때문에 우기에는 도처에 물구덩이가 생길 정도지만 건기에는 건조가 심하여 고온과 극심한 증발산으로 물부족 현상이 나타난다.

식물은 건조에 견딜 수 있는 적응력을 가져 건기에는 말라붙거나 낙엽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사바나의 성인에 대해서는 기후 외에 가축의 방목이나 건기에 해마다 되풀이되는 들불〔野火〕등의 인위적인 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고 생각되며 사바나의 대부분이 인위적인 것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도 적지 않다.

풍부한 초식동물을 중요 대상으로 하는 수렵·채집은 태고 때부터 볼 수 있는 생업활동이지만 오늘날에는 부시먼이나 하자족 같은 소수를 제외하고는 부차적인 역할만 하고 있다.

목축도 이 지방의 중요한 생업형태로 아프리카 전체에서 볼 때 양은 전세계의 30% 정도를 차지하고 소도 10%를 넘는다.

소는 사회적·문화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플라니족이나 나이로트계의 여러 종족 같이 목축 중심의 경제를 영위하는 부족도 많다.

오늘날에는 농경을 멸시하는 마사이족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부족이 농업에도 의존하고 있다.

또 남부 사바나의 상당한 지역에서는 초원보다 소림(疎林)이 많을 뿐만 아니라 체체파리 때문에 목축을 할 수 없다.

농업은 우기의 비를 이용한 천수(天水) 농경인데다가 지력을 회복시키는 수단이 빈약하여 이동경작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사바나는 풍부한 동물상으로 유명하다.

그 중에서도 대형 포유류, 특히 유제류(有蹄類)가 현저하다.

유제류가 진출하지 않은 남아메리카의 야노스에는 설치류, 오스트레일리아의 초원에는 유대류의 캥거루가 유제류 대신 생태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나 유제류만큼 동물상은 풍부하지 않다.

사바나 식생의 어원이 되고 있는 아프리카의 사바나에서는 유제류가 동물상의 주(主)가 되고 있다.

예를 들면 탄자니아의 세렌게티에는 27종의 유제류가 서식하고 있다.

또 세렌게티에는 초식동물이 전체적으로 1ha당 8.3t이나 된다.

이 풍부한 초식동물에 의해 사자·표범 등의 육식동물이 유지되고 보다 복잡한 동물상이 형성된다.

아프리카의 사바나에는 이 밖에 곤충식의 포유류가 있으며 땅돼지·왕천산갑·아드울프 등은 사바나에 풍부한 흰개미를 상식한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관련 콘텐츠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