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사구(sand dune)

작성일 2010-08-18

바람에 불려 이동한 모래가 퇴적해서 생기는 언덕. 우리 나라의 사구는 거의 모두 모래톱의 모래가 바람에 밀려 바닷가에 평행으로 높아진 것이지만 세계의 건조지(乾燥地)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사구가 있다.

초승달 모양으로 산재(散在)하는 바르한 사구, 풍향(風向)에 직교하는 횡렬사구(橫列砂丘), 풍향으로 뻗은 종렬(縱列)사구, 거대한 피라미드형의 사구 등 그 모양은 바람의 세기, 모래의 양, 모래의 이동을 가로막는 식물의 소밀(疎密) 등에 따라 결정된다.

사막의 사구는 고정시키기 곤란하지만 사막주변의 화석사구는 목장·농지로서 이용되고 있다.

미국의 네브래스카주에서는 질이 좋은 육우가 생산되고 나이지리아 북부에서는 대량의 땅콩이 생산된다.

그러나 관리를 잘못하면 모래의 재이동이 시작된다.

습윤지역의 사구는 사방림(砂防林)을 심어 모래의 이동을 막고 과수원이나 경지로서 이용되는 곳이 최근에 많이 늘어나고 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사구식물(dune plant) 2010.08.18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