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혈(anemia)

일정한 부피의 혈액 속에 들어 있는 혈색소량이 정상량보다 감소된 상태. 의학적으로는 혈액 속에 있는 헤모글로빈 농도가 낮아진 상태를 뜻한다.
또한 신체의 일부분에 혈액이 없어지는 것을 말하나 이것은 보통 허혈이라고 하여 구별한다.
혈액 속의 적혈구에는 철분이 들어 있는 단백질·헤모글로빈(혈색소)이 있어 산소와 결합하여 체내에 산소를 공급한다.
그러므로 헤모글로빈의 원료가 되는 철이 부족하거나, 적혈구 생산구조에 이상이 생겨 적혈구가 부족하거나, 불완전한 적혈구가 생기거나, 출혈 또는 용혈 등에 의해 적혈구의 양이나 헤모글로빈의 농도가 줄면 체내 조직이 저산소상태가 되고 이런 상태를 빈혈이라고 한다.
즉 빈혈은 병명이 아니라 증상을 말한다.
빈혈은 발생 원인이나 적혈구의 형태에 따라 철결핍성 빈혈·재생불량성 빈혈·용혈성(溶血性) 빈혈·철아구성(鐵芽球性) 빈혈·악성 빈혈 등으로 구분하며 이 중 철결핍성 빈혈이 가장 많다.
〔증상〕빈혈 환자는 다음 증상을 느낀다.
산소를 운반하는 헤모글로빈 저하로 인해 조직의 저산소(低酸素) 상태가 와서 쉽게 피로감, 두중증(頭重症), 어지럼증, 기립성(起立性) 저혈압, 호흡곤란을 느낀다.
헤모글로빈 농도 저하로 인한 창백한 얼굴, 심박출량 증가에 의한 심계항진(心悸亢進) 등이 있다.
그러나 이것들이 빈혈 특유의 증상은 아니다.
또한 혈액검사로 측정된 헤모글로빈 농도와 헤마토그리트값(단 위용적의 혈액 속에 들어 있는 적혈구용적의 비율) 및 적혈구수로 평균 적혈구용적과 평균 적혈구헤모글로빈 함량을 계산할 수 있고 이것을 근거로 ① 적혈구가 큰 대구성 빈혈(大球性貧血), ② 적혈구가 정상 크기인 정구성 빈혈(正球性貧血), ③ 적혈구가 작고 헤모글로빈의 함량도 적은 저혈색소성 소구성빈혈(低血色素性 小球性貧血)의 세 가지로 나누는 형태학적 분류도 있다.
이 형태학적 분류는 빈혈을 진단하는 데 있어 실제적인 도움을 준다.
〔치료〕빈혈의 치료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약물 요법과 균형 있는 영양섭취가 중요하다.
재생불량성 빈혈, 신부전 빈혈 등에는 수혈이 필요하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상태변수(variable of state) 2010.08.18
- 이전
- 빈(Wilhelm Carl Werner Otto Fritz Wien) 2010.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