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불임수술(contraceptive operation)

작성일 2010-08-18

피임법과 달리 영속적으로 생식능력을 정지시키는 방법. 인공적으로 임신하지 않도록 하는 수술이며 불임법이라고도 한다.

〔남성〕 정자의 통로를 차단하면 불임의 목적은 달성 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정관수술을 한다.

정관 수술은 국소마취를 한 다음 음경근부(陰莖根部) 부근의 양쪽을 각기 약 1cm씩 째고 양쪽 정관을 노출시켜 이를 절단하는 방법이다.

불임수술 중 가장 많으며 수술 후의 조정기능(造精機能)에 일과성 장애가 있다는 설과 진행성 장애가 있다는 설이 있으나 아직 뚜렷한 장애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 밖에 정관에 폴리프로필렌제의 장치나 동선을 삽입하는 방법도 있다.

정관수술 후 임신시킬 필요가 생기면 절단했던 정관을 다시 연결시켜 정자를 통과시키는 복원수술도 가능하다.

〔여성〕 일반적으로 난관불임수술이 시행된다.

개복에 의한 복식(複式)과, 질(膣)에서 절개하는 질식(膣式) 난관불임수술이 있고 수술에 의한 영향이 적은 질식을 많이 택하며 수술방법은 ① 마들레네르법 : 난관협부(卵管I峽部)를 압박하여 결찰하는 방법. ② 난관의 일부 절제법 : 난관의 중앙부분을 고리모양으로 결찰하여 고리 끝부분의 난관을 절제하는 방법. ③ 난관 간질부 절제법, ④ 전체 난관적출술 등 이 있다.

이 중 ①②의 방법이 일반적이다.

시술 후의 피임률은 거의 100%지만 때로는 재개통이나 결찰부전 등으로 임신하는 예가 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