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산호(coral)

작성일 2010-08-17

산호충강 팔방산호아강에 속하는 동물의 총칭. 넓게는 육방산호아강의 돌산호류·뿔산호류와 히드로충강의 히드로산호충류를 포함한다.

〔구조〕팔방산호류는 8개의 깃 모양 촉수(觸手)를 가진 폴립이 여러 개 모여 높이 30~50cm 정도의 군체를 이룬다.

폴립의 촉수환(環) 중앙에는 열상(裂狀)의 입이 열려 있고, 이것이 위강(胃腔)으로 연결되어 있다.

위강 안은 8개의 격벽으로 나누어져 있고 격벽의 기부는 격벽사(隔壁絲)로 되어 있으며 그 일부에 생식선이 발달해 있다.

각 폴립은 공육(共肉)내에 묻혀 있고 공육 내부를 관통하는 관사(管絲)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 때문에 하나의 폴립이 얻은 영양은 전체의 영양이 된다.

섭취한 먹이 중 소화되지 않은 것은 다시 입으로 배출한다.

폴립이나 공육내에는 석회질의 작은 골편이 많이 산재하고 수부(髓部)까지 깊이 내몰한 폴립의 밑부분에서 외피와 다른 뼈가 생성되며 이것이 석회질에 의해 교착(膠着)되어 골축(骨軸)이 형성된다.

각 개체의 골격이 연결되어 있어 공골(共骨)이라고도 한다.

이 골축이 장식품으로 가공된다.

폴립이 죽으면 공육과 위강을 싸고 있는 조직이 부패하고 골격만 남는다.

육방산호류는 폴립의 촉수가 6개 또는 6개의 배수개로 입 주위에 늘어서 있고 위강 안은 6개의 격벽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 폴립은 바깥쪽에 석회질을 분비하여 각 격벽 사이를 연결한다.

그 형태는 사슴뿔 모양·접시 모양·덩어리 모양 등 여러 가지가 있고 이들 군체가 잘 발달하여 지름 2~3m 정도가 되는 것도 있다.

폴립의 모양이나 색깔 등은 종류에 따라 다른데 폴립의 길이가 3~4cm 정도의 것도 있으며 이것이 물의 흐름에 따라 흔들려서 여러 가지 색깔을 나타내는 것이다.

석회질의 골격은 단단하지 않아서 가공하지 못한다.

〔생태〕붉은산호·흰산호·연분홍산호 등 장식용으로 가공되는 산호는 수심 100~300m 정도의 해저에 붙어 산다.

이 중 붉은산호는 가지가 많고 흰산호는 가지가 적고 가장 얄은 곳에서 산출된다.

연분홍산호는 가장 크고 해저 수백 m의 암초 위 에 착생한다.

돌산호류는 수온이 20℃가 넘고 염분도가 높은 비교적 깨끗한 해수에서 잘 자란다.

따라서 위도가 북쪽이라도 난류의 영향을 받는 해역에서는 산호초를 볼 수 있으나 반대로 적도 부근의 해역에서는 산호초의 발달이 매우 나쁘다.

산호초를 형성하지 않는 뿔산호류는 수온이 낮은 바다 밑에서도 나며 이것들이 군집을 만들면 천연의 어초(漁礁)가 되고 이 곳에서 낚시·그물·주낙 등을 통한 어업이 행해진다.

〔발생·분포〕산호는 자웅이체이고 성숙한 알과 정자는 해수에서 수정된다.

수정란은 플라눌라 유생이 되어 얼마 동안 유영한 다음 다른 물체에 정착하여 폴립이 된다.

이 폴립이 무성생식에 의해 증가하고 군체를 만든다.

산호는 폴립형뿐이고 해파리형은 만들지 않는다.

세대교번은 하지 않으나 버섯돌산호만은 횡분열을 반복하여 폴립을 발생시킨다.

지중해, 태평양 연안, 이탈리아의 여러 섬, 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산화물(oxide) 2010.08.17
이전
산형화서(umbel) 2010.08.17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