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acid)

화학물질 분류의 하나로서 그 정의는 역사적으로 변천해 왔다.
현대 화학의 입장에서 산은 양성자주게(브뢴스테트로리의 이론), 또는 전자받게(루이스의 이론)라는 정의가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다.
산은 화학조성 면에서 수소 H와 산기(이것을 A라고 표시한다)의 결합체이며 물이나 액체암모니아와 같은 용매 속에서는 다음과 같이 반응한다 : .
이들 반응은 화학평형의 일종으로 이온화평형(또는 산염기평형)이라고 한다.
HA에 비해 ,
은 염기이고,
,
는 그들의 짝산이다.
이 이온화평형의 이온화상수값에 따라 산의 세기가 결정된다.
산 1 분자가 이온화에 의해 n개(n은 자연수)의 양성자가 공급될 때 n을 산의 염기도라고 한다.
HCl에서는 n=1이므로 염기도는 1이다.
에서는 n=2이고 염기도는 2이다.
산의 분자 속에 든 수소원자가 산소원자와 결합하여 수산기 OH를 만든 형이 가장 흔한 산인데, 특히 중심원자에 결합된 원자가 모두 산소인 무기산을 산소산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중요한 산이 여기에 포함된다.
산소산에 대해 수소산이 있다.
또 산소산의 산소가 황으로 대치된 티오산도 있다.
이들의 물을 용매로 하는 산(아쿠오산이라고 함)에 대해 액체 암모니아를 용매로 하는 산은 암모노산이라고 한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분산(dispersion, variance ) 2010.08.17
- 이전
- 삭(newmoon) 2010.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