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리(isolation, segregation, separation )
2010-08-17
① isolation 발생학의 실험방법으로 어떤 생물계(生物系)에서 일부를 격리시켜 생물학적 행동을 관찰하는 것. 동물의 발생기구학(發生機構學) 에서는 종종 이 방법을 사용한다.
배(胚)에서 분리한 것을 분리편(分離片)이라 하며 이것을 체외배양 또 는 체내배양하여 그 발생능(發生能)을 조사하고 분리편을 조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한다.
예를 들면 양서류 초기 낭배(囊胚)의 예정신경판(豫定神經板)을 분리하여 단독배양하면 표피로 분화하지만 원구상순부(原口上脣部)와 조합시켜 배양하면 신경적인 분화가 나타난다.
가장 잘 알려진 분리실험은 H. 슈페만의 도롱뇽 수정란의 분리실험(1928)과 자이델이 난할상태인 잠자리의 수정란을 이용한 실험(1932) 등이 있다.
② segregation 유전학에서 염색체 및 염색체의 대립유전자(對立遺傳子)가 감수분열을 할 때 나누어져 각기 다른 딸세포로 들어가는 것. 감수분열을 할 때는 쌍을 이루어 존재하던 염색체와 유전자(2배체)가 감수분열에 의해 분리되고 그 결과 쌍을 이루지 않는 반수체(半數體)의 생식세포가 만들어진다.
이것을 멘델의 분리법칙이라고 한다.
대립유전자 A가 a보다 우성(優性)이면 F
은 Aa이며, 표현형은 우성형질을 나타낸다.
더욱이 F
의 유전자(Aa) 분리의 결과, F
의 유전자형은 1(AA) : 2(Aa) : 1(aa)의 비율로 분리된다.
특히 성염색체(性梁色體) 상에서의 분리는 유전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져 기형인 자손을 생기게 하기도 한다.
③ separation 화학용어 . ㉠ 혼합물을 순물질(純物質)로 나누는 작업 : 혼합물에서 순물질을 추출하는 조작을 물질의 정제(精製)라고도 한다.
@ 증류 : 액체시료(波體試料) 속의 불순물을 분리하는 수단. 상압증류(常壓蒸溜) · 감압(진공)증류 · 수증기증류 등이 있다.
ⓑ 재결정(再結晶) : 고체상태인 혼합물의 분리에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물질의 용해도에는 각기 특성이 있다.
예를 들면 설탕과 식염(食鹽)의 혼합물을 정제할 때는 알코올을 이용한 재결정법이 이용된다.
알코올은 이온성 물질인 식염을 녹이지 못하지만, 분자성 물질인 설탕을 녹이기 때문이다.
ⓒ 추출 : 액체용매를 사용하여 고체 또는 액체에서 어떤 물질을 분리하여 추출하는 조작. ⓓ 크로마토그래피 : 적당한 흡수제가 들어 있는 통 속에 분리정제할 시료를 부어 넣으면, 흡수제와 시료의 친화력 차이 때문에 시료의 각 성분이 여러 곳에 분배되는 분리수단. ⓔ 원심분리 : 단백질이나 생체물질의 분리에 이용된다.
분자량의 차를 이용하여 초원심분리기(超遠心分離機)로 분리하는 수단이다.
ⓕ 전기적(電氣的) 방법 : 전기분해나 이온교환법 등이 이 수단의 대표적인 예이다.
㉡ 순물질 속의 화학성분을 검지(檢知)하는 작업 : 물질 속의 화학성분의 분리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안정된 형태로 추출할 수 없기 때문에, 실제로는「성분의 확인」을 의미한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사토(sand soil) 2010.08.17
- 이전
- 사쿨리나거세(sacculinization) 2010.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