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발아(germination)

작성일 2010-08-17

식물의 종자·포자·꽃가루 및 가지나 뿌리 등에서 싹이 발생하고 생장을 개시하는 과정. 형태학적으로는 유근(幼根)이 종피(種皮)를 뚫고 나오는 것을 말하며 생리화학적 면에서의 넓은 의미로는 발아과정(發芽過程) 전체를 의미한다.

좁은 의미로는 기관(器官)의 생리적 상태와 환경조건 등이 어울려 생장점(生長點)이 활성화(活性化)되고 그 생장이 지속될 수 있는 상태로 놓여지는 것을 말한다.

종자가 발아하려면 외적 조건으로서 수분·온도·산소·빛 등이 적당히 주어져야 하며 이 중의 어느 하나가 부적당해도 발아하지 못한다.

발아에 있어 수분의 역할은 종피가 수분을 흡수하여 그 자체가 부드러워지므로 배(胚)가 종피를 뚫고 나와 성장하기 쉽게 해 주며, 수분을 흡수한 세포 조직에서는 저장물질(貯藏物質)의 전화(轉化)·전류(轉流)·호흡작용, 그 밖의 생리적 기능을 활발하게 해준다.

발아의 최적온도에서는 가장 짧은 기간에 가장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면서 빨리 발아한다.

자연 상태에서 발아할 때는 온도의 일변화(日變化)의 영향을 받게 된다.

정상적인 발아를 시키려면 를 충분히 공급해야 한다.

가 결여된 조건하에서 식물의 종자가 2차휴면(二次休眠)에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의 식물은 빛의 유무와 관계가 없다.

또한 ·Cl· 같은 가스와 무기 염류·산·알칼리의 식물성장 조절물질 같은 화학물질이 발아에 영향을 미친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발아세 2010.08.17
이전
복막(peritoneum) 2010.08.17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