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차수(order of reaction)

반응속도를 반응원계(原系)의 각 성분의 농도 또는 분압의 멱함수(冪函數)의 곱으로 표시할 때 각 멱수의 합. 각 성분을 A, B, C, ---로 표시하고 반응속도가
이라고 하면 a+b+c+…가 반응차수이다.
또 전체의 차수와 관계없이 특정한 성분 A 또는 B에 붙여 a차 또는 b차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질량작용의 법칙이 성립하는 기본반응에서는 반응차수가 반응에 관여하는 분자수의 합과 일치하지만 연속하는 복수의 반응에서는 속도식이 각 성분 농도의 복잡한 함수가 되고 그 근사값으로서 멱함수 표현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그 때 멱수가 분수나 음의 값을 취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등온흡착량(等溫吸着量)을 속도식에 포함하는 불균일접촉반응이나 미하엘리스-멘텐식으로 표시되는 효소반응 등은 멱함수 표현이 곤란하며 반응차수의 결정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반입자(antiparticle) 2010.08.17
- 이전
- 보이드스웰링(void swelling) 2010.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