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차폐(radiation shielding)

원자력 시설이나 방사선 작업장 등에서 방사선원(放射線源) 주위의 국한된 영역을 막아 외부로 누출되는 방사선을 차단하는 조치. 구조재나 기기(機器)의 방사선 손상 · 발열 · 방사화 등을 경감시키고 방사선 측정기에 대한 방사선 백그라운드(측정대상인 시료 외에서 오는 방사선)를 경감시키기 위해 방사선을 차단한다.
차폐체를 설계할 때 대상이 되는 방사선의 종류, 에너, 방사선원의 모양, 차폐체에 대한 제
약(공간의 제한, 마루하중의 제한 등) 등을 고려하여 차폐재료를 선택해야 한다.
설계에 사용되는 계산방법은 간단한 감쇠모형에 기초한 것이 중심이었지만, 대형컴퓨터의 발달에 따라 2차원 · 3차원의 수송계산이 가능해졌다는 차폐재료는 선인 경우
선의 에너지 크기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원자번호가 크고 무거운 원소일수록 차폐효과는 크다.
실용적으로 철이나 납 등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미약한 방사능을 측정하기 위한 차폐의 경우에는 차폐재료 중의 미소한 천연방사능 또는 인공방사능이 문제가 되므로 재료의 선택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중성자빔에 대해서는 수 MeV 이하인 경우 물이나 파라핀 같이 수소를 많이 함유한 물질이 효과가 있다.
에너지가 높아짐에 따라 비탄성산란에 의한 중성자 에너지의 손실이 중요하므로 원자번호가 큰 원소를 함유한 재료가 효과적이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방사선화학(radiation chemistry) 2010.08.16
- 이전
- 방사선증강제 2010.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