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광요관역류(vesicoureteral reflux)

주로 배뇨(排尿)시에 방광 안의 소변이 요관이나 신우(腎盂)로 역류하는 현상. 이 때문에 신우 · 요관이 확장되거나 신우신염(腎盂腎炎)이 자주 합병된다.
정상인 경우 방광과 요관의 접합부는 일종의 판상구조(瓣狀構造)로 되어 있으므로 방광에 고인 소변이 요관으로 역류(逆流)하는 일은 없으나, 그 구조가 덜 발달되었거나 어떤 원인으로 장애를 받으면 방광요관 역류현상이 일어난다.
선천성과 후천성이 있으며, 선천성에는 요관방광 접합부의 미발달(未發達) 때문에 일어나는 원발성(原發性) 역류를 비롯하여 중복요관(重複尿管)이나 요관류(尿管瘤) 등 요관 기형(奇形)에 수반되는 것 등이 있다.
특히 유소아(幼小兒)의 여자 어린이에게 많다.
또한 후천성에는 신경인성(神經因性) 방광이나 위축(萎縮)방광 · 하부요로(下部尿路) 통과장애 등에 수반되는 것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신우신염을 계기로 하여 발견되며 배뇨시 방광요도촬영에 의해 진단된다.
어린이의 경우는 신우신염에 대한 장기간의 화학요법과 일정시간마다 이단배뇨(二段排尿)를 지도하여 소변이 방광에 너무 많이 고이지 않게 하여 자연적으로 낫는 수도 많지만 심할 때는 역류방지 수술이 필요하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방광종양(tumor of the bladder) 2010.08.16
- 이전
- 몰바이데도법(Mollweide projection) 2010.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