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마이코플라즈마(mycoplasma)

작성일 2010-08-16

분류학상 세균과 바이러스의 중간적 위치에 있는 미생물. 1898년 P. P. E. 루가 여과성 미생물(濾過性微生物)로 처음 기재 했고, 1929년 J. 노박은 마이코플라즈마속(屬)으로 명명했으며, 다형성이면서 소형인 특징을 들어 우폐역균(牛肺疫菌)과 비슷한 생물이라는 의미로 PPLO(pleuro pneumonia like organism)라고 불렀다.

또 41년 A. B. 사빈은 파라마이시트라고 불렀다.

현재 마이코플라즈마는 발육할 때 혈청이나 복수를 필요로 하는 마이코플라즈마과(科)와 그렇지 않은 아콜레플라즈마과(Acholeplasmataceae)로 나뉘며, 명명은 노박의 속명이 일반적으로 통용된다.

인공적으로 만든 무세포배양액에서 발육하는 최소(125~250nm)의 미생물로 둥근 모양의 집락을 형성한다.

세포벽은 없고 3층의 세포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편모는 없고 그람음성반응을 나타낸다.

모든 마이코플라즈마는 세포벽의 합성을 저해하는 항생물질인 페니실린·세팔로스포린류 등과 설파제·아세트산탈륨 등에 저항성을 보이며 인공배양액 속에서 특이항체에 의해 발육이 저지당한다.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여 동물·하수(下水) 등에서도 분리되고 배양하는 동물 세포에 섞여 있는 경우도 많다.

사람의 입 속에 항상 존재하는 것도 있고 폐렴·관절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식물의 마이코플라즈마는 무세포배양액에서 증식이 확인되지 않아 마이코플라즈마 유사미생물이라는 의미로 MLO(mycoplasma like organism)라고 부른다.

MLO에 감염된 식물은 위황총생형(萎黃叢生型)의 병정을 나타내고 잎·줄기의 황화·위축·총생, 줄기의 이상비대로 인한 꽃 또는 잎의 기형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MLO는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물질에 대해 감수성을 가진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마이코플라즈마폐렴 2010.08.16
이전
마이코톡신(mycotoxin) 2010.08.16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