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무기화학(inorganic chemistry)

작성일 2010-08-16

무기화합물과 홑원소물질을 다루는 화학. 유기화학에 대응하는 분야이다.

학문으로서의 화학이 성립되는 과정인 17~18세기에는 무기화학과 유기화학의 구별이 없었고, 다루는 대상의 화합물은 모두 무기화합물이었다.

18세기 말기에서 19세기 초에 걸쳐 점차 많은 유기화합물을 다루게 되었으나 당시 유기화합물이나 유기화학이라는 명칭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17세기 말엽 프랑스의 N. 렘리가 물질을 동물·식물·광물로 나눈 데서 이들을 다루는 화학을 동물화학·식물화학으로 부르는 정도였다.

그리고 동식물계에서 추출한 물질에 대해 정확한 분석과 명확한 이해도 없었고 유기체에 기원을 가진 것은 광물질과 다르다고 생각한 경우가 많았다.

즉, 유기화합물은 동식물체에 존재하고 인공적으로는 합성될 수 없다고 생각했다.

1806년경 스웨덴의 J. J. 베르셀리우스는 유기체를 의미하는「organ」에서「organic chemistry」(유기화학)와「organic compound」(유기화합물) 라는 말을 사용했다.

그리고 유기화합물 이외의 것이 무기화합물이고, 무기화합물을 다루는 부분이 무기화학이 되었다. 이렇게 하여 19세기 초부터 무기 화학과 유기화학이 분류됨에 따라 유기화합물이 그렇게 특별한 것만은 아니라는 것이 곧 밝혀지게 되었다.

이후 19세기 후반에 이르기까지 많은 새로운 원소가 발견되고 비활성기체원소도 발견되었으며, 이유고 주기율표가 완성되어 무기화학의 기초가 확립되었다.

그러나 이 동안에 유기화학이 화학결합과 구조이론의 진전에서 크게 발전한 것과는 달리 무기화학은 단순한 조성의 화학에 머물러 있었다.

93년 독일의 A. 베르너가 배위설(配位說)을 제기하여 무기화합물 구조론의 출발점이 되었으며, 이것은 그 후 무기화학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기초가 되었다.

20세기에는 양자역학이 성립되고 원자의 전자구조가 명확하게 되어 화학결합의 본질이 해명된 동시에 X선 구조해석을 비롯한 각종 구조 연구방법이 개발되어 현재와 같은 무기구조화학이 확립되었다.

그 구조화학적 지식 위에 연구대상의 중심이 무기반응론으로 확대되고 있다.

현재의 화학연구영역으로 무기화학은 유기화학·생화학·물리화학과 더불어 중요한 분야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그 내용도 매우 광범위하며 다루는 대상이나 방법·수단·목적 등에 따라 여러 분야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광물화학·암석화학·온천화학·해양화학·대기화학 등은 그 명칭과 같은 분야의 화학이고, 이것들을 포함하여 지구를 대상으로 하는 지구화학이라는 커다란 분야도 무기화학의 하나이다.

또 원소를 각종의 핵종(核種)을 중심으로 하여 보는 입장에서 분류하면 핵화학{核化學)이 있고, 방사성핵종(放射性核種)을 다루는 방사화학, 핵반응과 관계기 있는 열원자(hot atom) 화학으로 세분된다.

우주의 발생을 연구할 때 이것들을 포함한 우주화학도 한 분야이다.

더욱이 개개의 원소는 각기 특별한 성질을 갖고 있으므로 그것을 중심으로, 예컨대 플루오르화학·붕소화학과 같이 불리기도 한다. 그리고 이것은 유기화학에서 보아도 마찬가지이며, 각종의 복잡한 유기 킬레이트화합물이나 유기 금속화합물이 연구 대상이 되어 현재는 무기화학과 유기화학이라는 경계는 점차 희미해지게 되었다.

19세기 말까지 박물학적(博物學的)인 기술의 화학으로서 체계화된 무기 화학은 20세기 들어오면서 구조론·반응론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방법이 발전하고 그 색채도 강해졌으며 동시에 물리화학과의 경계도 애매해지고 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모노레일(monrail) 2010.08.16
이전
모노(Jacques Lucien Monod) 2010.08.16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