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델의 법칙(Mendel’s laws)

1865년 G. J. 멘델이 발표한 유전법칙. 7년간의 완두 재배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논문《식물의 잡종에 관한 실험》에서 발표했으나 당시에는 인정받지 못하다가, 그가 죽은 지 16년 만인 1900년에 독일의 K. E. 코렌스, 네덜란드의 H. 드브리스, 오스트리아와 S. E. 체르마크 등 세 사람에 의해 재발견되었다.
멘델이 실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세운 가설을 보면 각 형질은 유전자(멘델은 요소라 불렀다)에 의해서 전해지고, 각 개체는 하나의 형질에 대해 2개의 유전자를 가지며 생식세포에는 이것이 하나씩 들어가고 유전자의 후대 전달은 생식세포를 통하는데, 수정시 생식세포의 조합은 우연하게 균등한 기회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이런 여러 가지 과정을 거쳐 멘델이 발표한 법칙이 우열의 법칙(지배의 법칙), 분리의 법칙, 독립의 법칙이다.
멘델의 법칙은 현대유전학의 기초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염색체의 개념을 몰랐던 시대에 유전자의 개념을 도입하여 더욱 큰 중요성을 가진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멘도시노단열대(Mendocino Fracture Zone) 2010.08.16
- 이전
- 멘델유전(Mendelian inheritance) 2010.08.16

관련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