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맹점(blind spot)

작성일 2010-08-13

생리적인 시야의 결손 부분. 망막이나 시신경유두에는 시세포가 없으므로 광각을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시야 중 이 부분에 상당하는 곳은 보이지 않는다.

이 부분의 발견자 E. 마리오트의 이름을 따서 마리오트 맹점이라고도 한다.

망막에서의 이 결손부에 해당하는 시야상의 결손은 사람의 경우 시야 중심에서 귀쪽으로 시각(視角) 약 15°의 점을 중심으로 세로로 약 7°, 가로로 약 5°를 차지하는 타원형의 범위이다.

이 맹점의 존재는 마리오트의 실험으로 증명할 수 있다.

간단한 방법으로 백지에 X표를 하고 오른쪽으로 5~10cm 되는 곳에 작은 원을 그려서 벽에 붙이고, 거기서 18~35cm 떨어진 곳(5~10cm의 3.5배 되는 곳)에서 왼쪽 눈을 감고 오른쪽 눈만으로 X표의 중심을 주시하면 오른 쪽에 있는 원이 보이지 않는다.

망막상에서의 X표와 원 사이의 거리값은 약 4mm로, 황점과 시신경유두 사이에 해당하며, 원의 상이 유두부에 투사되었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맹점의 존재를 평소 의식할 수 없는 것은 정지망막상의 일종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며, 또 두 눈으로 볼 때는 서로 보완되기 때문이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존 머리(Sir John Murray) 2010.08.13
이전
맹장(caecum) 2010.08.13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관련 콘텐츠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