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데이터통신(data communication)

작성일 2010-08-13

컴퓨터와 단말기 또는 컴퓨터 상호간 등 기계와 기계 사이의 통신. 원격측정 · 전신 · 팩시밀리 등이 이에 포함된다.

좁은 뜻의 데이터통신은 통신회선을 통해 음성 외의 신호를 전송하는 기술을 말한다.

특히 아날로그 통신망은 음성이 잘 전송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각종 변조방식이 있다.

아날로그 전화회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300~3,400Hz의 아날로그, 전화 대역(帶域)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1200bit/s 이하의 저속에서는 주파수 변조방식이 사용되고, 그 이상 고속에서는 다상위상변조(多相位相變調) · 잔류측파대다치진폭변조(殘留側波帶多値振幅變調)가 사용된다.

이들 방식에 의해 9,600bit/s 혹은 14,400bit/s의 데이터전송을 전화회선으로 전송하는 방식이 확립되어 있으며 여기에 이용되는 변복조(變復調) 장치를 모뎀(modem)이라 한다.

데이터 전송에서 양방향 통신을 할 때에는 한쌍의 선을 시간에 따라 바꾸어 사용하는 방식과 두 쌍의 선을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전자를 2선식, 후자를 4선식이라 한다.

디지틀회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디지틀회선은 미리 정해진 클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회선의 클록에 맞추어 단말에서 회선에 데이터를 송출해야 한다.

디지틀회선은 보통의 음성전송에 64Kbit/s의 고속전송을 하므로 아날로그회선을 사용할 때에 비해 훨씬 고속전송을 할 수 있다.

〔데이터통신 시스템의 구성〕 대표적인 데이터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그림]과 같다.

컴퓨터 본체의 처리장치는 채널을 통해 통신통제를 순서대로 실현하는 통신통제장치 CCU(communication control unit)에 연결된다.

CCU는 각종 통신회선을 통해 단말기에 연결되어 있다.

통신회선이 아날로그 전용회선일 때는 변복조장치를 통해 통신회선에 연결되고, 디지틀전용회선일 때는 디지틀 서비스장치 DSU(digital service unit)를 통해 연결된다.

또 전화교환선을 사용할 때는 다이얼의 발신이나 호출신호에 대한 응답 등을 알기 위해 네트워크 통제장치 NCU(network control unit)가 설치된다.

〔데이터통신 제도〕 데이터통신 시스템에는 기업 등이 자사 내에서 사용하기 위해 형성하는 본인사용 시스템, 다른 기업에 있는 컴퓨터 또는 단말을 서로 연결하는 공동사용 시스템 및 제3자에 대해 시분할 시스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타인 사용 시스템 등이 있다.

전화로 대표되는 시스템은 전통적으로 통신주무관청에 의해 독점적으로 운영되며, 전국적으로 균일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데이터통신 서비스의 어떤 것은 이러한 전신 · 전화국 서비스의 독점체제를 침범하여 그 경영을 약화시켜 전국적인 균일 서비스를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데이터통신의 초기에는 공동사용형 및 타인사용형 데이터통신 서비스에는 제약이 가해졌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데이터파일(data file) 2010.08.13
이전
맥동( microseism,pulsation) 2010.08.13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