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차수열(arithmetic sequence)

어떤 수에 일정한 수를 차례로 더해 가서 이루어지는 수열. 산수수열이라고도 하며 A. P.(arithmetic pro-gression)라 쓰기도 한다.
첫 수를 첫째항, 차례로 더해 가는 일정한 수를 공차(公差)라 한다.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할 때 그 제n항 a은 a
=a+(n-1)d로 나타낸다.
특히 세 개의 수 a, a
, a
가 등차수열을 이룰 때, 가운데의 수 a
를 등차중항(等差中項)이라 한다.
등차중항은 양끝의 수 a, a
의 산술평균으로 나타낸다.
즉,
a=
(a
+a
)
이다.
첫째항 a, 공차 d, 항수 n인 등차수열의 합을 S이라하면
이다.
여기서 l은 이 수열의 끝항을 의미한다.
특히 홀수로 이루어지는 수열 1, 3, 5, …의 n항의 합은 n이다.
그리고 일반항이 항의 번호 n에 대해 이차식인 수열 b, b
, …, 즉 b
=An
+Bn+C인 수열에 대하여는 그 계차수열(階差數列)은 등차수열이며, 만일 여기서 C=0이라면 b
은 어떤 등차수열 a
, a
, …에 대해 그 n항목까지의 합을 나타내는 수열이 된다.
수열 a, a
, …의 역수, 즉
,
, …
이 등차수열을 이룰 때, a, a
, …를 조화(調和)수열이라 한다.
특히 세 개의 수 a, a
, a
가 조화수열을 이룰 때, a
를 조화중항이라 한다.
이것은 a, a
의 조화평균
a=
이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등측투영법(isometric projection) 2010.08.12
- 이전
- 등차급수(arithmetic series) 2010.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