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보솜(ribosome )

단백질 생합성의 장소인 지름 200~300Å 높이 l60Å 정도의 회전타원체형 리보핵단백질 입자. 전자현미경으로 관찰되는 세포 내의 구조체 중에서 가장 작은 것이다.
리보솜은 인(仁)에서 생성되는데, 세포 내에서는 원형질 그물모양구조인 소포체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세포를 파괴하여 원심분리로 리보솜을 분리할 때는 우선 소포체의 막편과 혼합된 물질, 즉 미크로솜을 얻는다.
따라서 미크로솜은 인공적인 분할물이고 세포기관인 리보솜과는 다르다.
리보솜을 막에서 분리하려면 디옥시콜산으로써 처리한다.
일반적으로 리보솜을 원심분리할 때는 원심력 1만 G(G는 중력가속도)와 10만 G사이에서 분할 성분으로 단리 정제한다.
조성은 RNA와 단백질이 약 1 : 1 비율로 결합된 복합체이다.
크기는 침강계수로 표시하는데, 세균류에서는 70S(S는 스베드베리 단위), 효모에서 동식물까지는 80 S이다.
모두 대소 2가지의 기본구성단위를 각기 1개씩 가진 결합체로서 세균에서는 50 S 입자와 30 S 입자, 동식물에서는 60 S 입자와 40 S 입자가 결합되어 있다.
리보솜의 중요한 구실은 rRNA가 mRNA와 결합함으로써 DNA의 암호를 받아들인 특정한 단백질을 생합성하는 것이다.
이때 단백질이 합성된 뒤에 mRNA는 해리된다.
리보솜의 구조에 관한 연구는 단백질 생합성 기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리보플라빈(riboflavin) 2010.08.12
- 이전
- 리보뉴클레오시드(ribonucleoside ) 2010.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