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단구(monocyte)

작성일 2010-08-10

파펜하임이 명명한 세포. 단핵세포라고도 한다.

1909년 파펜하임은 단구를 림프구계와 골수계에서 독립시키고 대단핵구(大單核球)와 이행형(移行型)을 한데 묶어 단구라고 명명했다.

단구는 백혈구 세포 중 지름이 15 내외로 가장 크고, 원형질은 미세한 적색 과립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또 운동성이 있어 강력한 식균작용(食菌作用)을 하여 대식세포(macrophage)라고도 하며 혈관 외로 나가 본래의 기능을 발휘한다.

탐식 · 이불처리기능인 주화성(走化性)과 면역성을 가지고 있으며 과립구 및 단구 생성자극 등이 있다.

전체 백혈구의 약 6%를 차지하며 두창(痘瘡) · 홍역(紅疫) · 말라리아에 걸리면 단구의 수가 증가된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단구(fracture ) 2010.08.10
이전
단구(terrace ) 2010.08.10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