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시차(equation of time)

진태양시(眞太陽時)에서 평균태양시의 값을 뺀 것. 시차 또는 시차율이라고도 한다.
지구의 공전궤도는 타원이므로, 근일점(近日點) 전후를 지날 때는 각속도가 크고, 원일점(遠日點) 부근에서는 각속도가 작다(케플러의 제2 법칙).
따라서 지구에서 본 태양의 시운동(視運動)은 황도(黃道) 위의 근지점 부근(1월 초)에서 빠르고 원지점 부근(7월 초)에서 느리다.
또, 황도는 적도에 대해 기울어져 있으므로 가령 시태양이 황도 위를 등속도로 운행한다 해도 그 시각(時角)은 고르게 증가하지 않는다.
이들 두 가지 원인에 의해 시각으로 정의되는 시태양시의 하루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다.
평균태양시는 이렇게 일정하지 않은 시태양시의 길이를 1년을 통해 균일하게 고른 것으로 그 차이인 균시차는 시태양시가 고르지 않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어떤 지점에서 시태양이 남중(南中)했을 때 그 지방의 평균태양시는 12시에서 균시차를 뺀 것이 된다.
균시차의 크기는 연 2회에 걸쳐 극대·극소가 된다.
극대값은 5윌 15일경의 플러스 3분 7초 및 11월 3일경의 플러스 16분 24초이고, 극소값은 2윌 11일 경의 마이너스 14분 19초 및 7월 27일경의 마이너스 6분 4초이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니트(nit) 2010.08.10
- 이전
- 니크롬(nichrome ) 2010.08.10

관련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