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규산염광물(silicate minerals)

작성일 2010-08-10

이산화규소와 금속산화물의 염으로 된 광물의 총칭. 조암광물의 대부분은 규산염 광물이며 지각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지구 내부·우주공간의 고체물질로서 자연계에 널리 분포한다.

 

규산염은 기본적으로 SiO 의 큰 음이온과 금속의 작은 양이온으로 되어 있다.

규소 이온은 4배위(配位)로 그 둘레에 4개의 산소 이온이 정사면체 모양으로 배치된다.

 

SiO 정사면체가 결정 구조의 기초이며 그 결합과 배열 상태에 의해 규산염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① 네소규산염(SiO 사면체가 꼭지점의 산소원자를 공유하지 않고 독립된 규산 이온을 이루는 것. 감람석 등)

 

② 소로규산염(SiO 사면체가 꼭지점의 산소원자를 공유하고 유한한 무리를 이루는 것으로 규소와 산소의 비율은 2:7. 異極鑛 등)

 

③ 시클로규산염(3개 또는 그 이상의 SiO 사면체가 꼭지점의 산소원자를 공유하며 環狀으로 이어진 것. 녹주석 등)

 

④ 이노규산염(SiO 사면체의 사슬이 두 개 평행으로 결합한 규산의 총칭. 각 사슬의 成員은 하나씩 걸려 상대 사슬의 성원과 1원자의 산소를 공유하며, 따라서 규소와 산소의 비율이 4:11. 휘석·각섬석 등)

 

⑤ 텍토규산염 (입체구조의 규산염. 사면체는 이웃하는 사면체와 그 산소원자 모두를 공유하므로 규소와 산소의 비율은 1:2. 無水의 것으로는 장석 등, 含水의 것으로는 沸石 등) 등이 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능동회로(active circuit ) 2010.08.10
이전
능동소자(active element ) 2010.08.10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