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흉부압박법(CPR :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작성일 2018-12-12
응급처치의 한 종류이며 심장과 폐가 활동을 멈췄을 때 실시한다. 심폐소생술, CPR이라고도 한다. 응급처치의 초기단계에 시행되는 것으로 심정지이거나 의식이 없는 사람을 발견했을 때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CPR의 목적은 호흡이 정지되어 충분한 가스교환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환자가 발생했을 때 인공적으로 폐의 가스교환을 촉진시키기 위한 인공호흡과 흉부에 압박을 가해 인공적으로 혈류를 생성하여 순환을 도모하는 인공순환을 시도해 환자의 뇌와 심장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다. CPR의 실행순서는 환자의 반응과 함께 숨을 쉬는지 확인하고 구조를 요청한 다음 팔을 뻗고 온 힘을 다해 가슴을 압박하고 기도를 연 후 인공호흡을 하는 순이다. 가슴 압박과 인공호흡은 숨을 쉴 때까지 반복한다. 성인과 달리 영유아의 경우에는 응급의료기관에 가장 먼저 신고를 하고 아이의 의식상태를 확인한 후 자동 제세동기를 사용한다. 주의할 점은 기도를 유지할 때 고개를 젖히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음
흐름도(flow chart) 2018.12.12
이전
흐름도(flow chart) 2018.12.12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