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클라이언트 컴퓨팅(client computing)

작성일 2018-12-12
개인용 PC에 사용하지 않는 부분의 성능을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클라이언트는 PC의 기능 중 최소한의 것만을 남겨 놓는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구성되어 있는 네트워크 안에서는 각자가 하는 역할이 있다. 중앙 서버는 작업에 필요한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자원 등의 컴퓨팅 자원을 거의 대부분 담당한다. 클라이언트는 작업을 할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 단말기로, 데이터의 입·출력만을 담당한다. 그리고 클라이언 컴퓨팅으로 중앙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데이터를 서로 교환한다. 클라이언트 컴퓨팅의 종류는 ① 기존의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에서 쉬고 있는 클라이언트 PC를 이용해 가상의 슈퍼컴퓨팅 파워를 구현하는 방식, ② 서버 없이 P2P(Peer to Peer)로 연결된 순수 클라이언트들로 구현하는 방식, ③①과 ②의 혼합(hybrid) 방식이 있다. 요즘 산업 스파이 등의 이슈로 기업과 공공기관들은 내부 중요 정보의 유출에 대한 보안이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 중 하나가 되었다. 또한 PC에서보다 부품이 적기에 비용도 저렴하고 입출력만 담당하기에 고장으로 교체될 때 데이터 손실에 대한 작업 지연 및 부수적인 영향 등에 따른 염려에 클라이언트는 좋은 대안책이 되었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