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작성일 2018-12-12
인터넷의 대형 서버를 이용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다양한 단말기로 언제 어디서나 다운 받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이 활성화되면 기기 안 정보 저장에 필요한 부품들이 사라지게 되므로 기기를 더 얇고 가볍게 만들 수 있다. 그러면 기기 값도 줄일 수 있고 부품 생산에 드는 에너지도 절약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별도의 정보 저장 소프트웨어를 기기에 설치하지 않고 자동으로 업그레이드 되는 편리함이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 발전할수록 환자 정보 공유가 편리하므로 병원 진료가 더 수월해지고 업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회사 업무의 효율성이 커지며 집에서도 인공 지능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이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의 대표적인 기술은 다음과 같다. ①가상화 기술: 여러 대의 전산 자원을 마치 한 대처럼 운영하거나 한 대의 전산 자원을 마치 여러 대의 자원처럼 나눠서 이용 ②오픈 인터페이스: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고 서비스 간 정보를 공유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술 ③대규모 분산 처리: 대규모 서버 환경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는 기술 ④자원 유틸리티: 전산자원에 대한 사용량 수집을 바탕으로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토록 하는 기술 ⑤서비스 프로비저닝: 서비스 제공자가 실시간으로 자원을 제공하는 기술 ⑥보안 및 프라이버시: 외부 컴퓨팅 자원에 기업 또는 개인의 민감한 정보가 저장됨에 따라 해당 정보에 대한 보안이 주요한 이슈 ⑦서비스 수준관리: 외부 컴퓨터 자원을 활용하는 특성상 서비스 수준이란 계량화된 형태의 품질 관리가 필요 ⑧다중 공유 모델: 하나의 정보자원 인스턴스에 대해 여러 사용자가 완전히 분리된 형태로 사용하는 것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