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이미지 표현-래스터 방식(raster method)

작성일 2018-12-12
이미지는 멀티미디어 구성 요소 중 하나로 그림이나 그래프등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이미지 표현 방법으로 비트맵과 벡터 이미지가 있는데, '래스터 방식'이 비트맵 방식을 의미한다. 래스터 방식은 작은 점들로 이루어진 이미지를 말하는데, 모니터 화면을 미세한 크기의 정사각형 조각으로 쪼갠 픽셀(pixel)이라 불리는 전자 모눈종이에 한 칸씩 색을 칠해서 그림을 완성하는 방법이다. 결국 여러 개의 픽셀(pixel)이 모여서 큰 그림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는 회화에서의 점묘법과 유사하다. 래스터 이미지의 특성을 이용하여 만든 픽셀 아트가 게임이나 디자인에 쓰이는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지만, 픽셀로 이루어진 방식이기 때문에 그림을 크게 확대 했을 때 울퉁불퉁한 계단 모양처럼 이미지가 보인다는 단점도 있다.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는 확장자는 다양한데, 우리가 보통 사진이나 그림을 저장할 때 뒤에 붙는 jpg, png, bmp, gif가 래스터 이미지이다. 그림판, 포토샵 등의 프로그램이 래스터 이미지 제작에 맞게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